“문형배와 헌법재판관들이 내란 처벌 대상”… 尹 파면 결정 재심 ‘탄력’
전직 헌법재판소장 문형배 씨가 이른바 ‘눈 가린’ 판결을 사실상 자인한 가운데 문씨를 비롯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헌재 재판관 전원에 대해 형사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법률적 소견이 제시됐다. 유승수 변호사는 유튜브 채널 이봉규TV가 24일 방영한 영상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에 관여한 재판관 8명에 대해 “반(反)헌법적인 헌재 결정으로 내란을 꿈꾼 자들이고 불법적인 판단을 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본 데다 본 것조차 적극적으로 왜곡해서 해석한 것은 전부 다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에 해당한다”며 이같이 형법적 평가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언론개혁 특위 출범의 과제 말하는 정청래 대표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주권 언론개혁 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8.14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국민주권 언론개혁 특별위원회는 18일 "뉴스포털에서 댓글을 통한 허위 조작 정보 확산을 막는 것을 특위의 구체적 개혁 과제로 삼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위 간사인 노종면 의원은 이날 특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언론중재법에 대한 개정 방안과 유튜브를 통한 허위조작 정보차단 문제 등을 놓고 위원들의 발제와 논의가 이어졌다.
노 의원은 "언론중재법은 21대 (국회) 때 (법안과 비교해) 쟁점이 늘어나는 방식으로 논의가 됐다"며 "(정정보도 등 청구 사건에서) 입증 책임의 어떤 부분을 전환할 것인가, 청구권을 어떻게 제약할 것인가, 누구에게 제약할 것인가 이런 부분들도 쟁점"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20년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언론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명시한 언론중재법을 추진했으나, '언론탄압법'이라는 야권의 비난과 국내외 언론단체들의 반발로 폐기한 바 있다.
그는 "보도 특성상 사실관계를 보도할 땐 논거를 제시하게 돼 있다"며 "보도는 기본적으로 자기 입증 책임의 속성이 있기에 허위성을 다툴 땐 허위가 아님을 입증하는 것을 언론에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의견이 (회의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유튜브를 통한 허위 조작 정보 유통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의제로 다뤄졌다.
상시 모니터링 기관을 두고 대응하는 방안과 기존 언론중재법 적용 대상에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을 포함하는 방법 등이 논의됐다고 노 의원은 전했다.
그는 "언론중재법에서 접근하는 징벌적 손배 대상에 유튜브 채널도 일률적으로 또는 일부 적용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는 논의가 있었다)"며 "이들도 인터넷 뉴스로 보는 등의 방법으로 언론중재법에 포함하면 유튜브를 통한 실질적 보도 행위도 규율할 수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지난 14일 국민주권 언론개혁 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악의적 가짜뉴스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hu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