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 현대차 공장 단속, 불법체류인가 정치 메시지인가
  • 김영 기자
  • 등록 2025-09-06 09:33:08
기사수정
  • 한국 언론 ‘피해자’ 강조, 미국 언론 ‘법 집행’ 부각
  • 한미관계와 중국 견제 교차점에서 읽히는 조지아 사태
조지아 현대차·LG 공장 대규모 단속은 단순한 불법체류 사건이 아니다. 한국 언론은 ‘피해’에, 미국 언론은 ‘법 집행’에 초점을 맞췄다. 이 시각차는 곧 한미관계와 미·중 갈등 속 한국의 입지를 가늠하게 한다. <편집자 주>

이민 단속이 이뤄진 공장. 채널A화면 캡처.


미국 조지아주 사바나 인근,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해 건설 중인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초유의 대규모 이민 단속 무대가 됐다. 


한국 시간으로 9월 5일 오전(현지 시간 9월 4일 오후) 이민세관단속국(ICE), 국토안보수사국(HSI), FBI가 투입된 작전은 단일 현장으로는 역사상 최대 규모라는 평가를 받았다. 


헬기와 장갑차까지 동원된 ‘군사작전급 단속’ 속에서 약 450~560명이 체포됐고, 이 중 상당수가 한국 국적자라는 사실은 한국 사회를 충격에 빠뜨렸다.


한국 언론은 이 사태를 ‘한국인 피해’ 관점에서 집중 조명했다. 


연합뉴스는 “체포자 중 약 300명이 한국인”이라고 전했고, 한국경제는 “ESTA와 B1 비자로 합법 입국한 출장자들까지 불법 체류자로 몰렸다”며 미국의 과잉 단속을 문제 삼았다. 외교부가 “국민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며 긴급 대응에 나선 것도 이러한 보도 흐름을 강화했다.


반면 미국 언론의 시각은 사뭇 달랐다.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이낸셜타임스(FT), 가디언 등은 이번 사건을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강경 이민 단속 성과”로 묘사했다. 한국인이라는 국적은 부차적일 뿐, 초점은 “불법 노동이 대규모로 만연한 현실”과 “법치 회복”에 맞춰졌다. 미국 내 불법 이민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맥락 속에서 현대차 공장은 단지 상징적 무대가 된 셈이다.


이 차이는 단순한 언론 보도 프레임의 차이를 넘어선다. 


한국에서는 “합법 비자 소지자마저 단속됐다”는 점에서 억울한 피해자의 그림자가 강조된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현대차 공사 현장조차 예외가 없을 만큼 강력히 단속한다”는 메시지를 대내외에 발신하고 있다. 


이는 곧 이번 사건이 한국을 향한 경고성 메시지로도 읽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루비오 미 국무장관이 불과 하루 전, “중국 공산당을 돕는 중남미 국가 국민들의 비자를 제한하겠다”는 발언을 한 직후 벌어진 사건이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중국과의 관계에서 모호한 태도를 보이는 국가들에겐 언제든 비자 제한·이민 단속이라는 압박 카드가 가해질 수 있다는 시그널이다. 한국이 예외일 것이라 장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단순한 불법체류자 단속이 아니라, 한·미 관계와 미·중 갈등 사이에서 한국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현실을 드러냈다. 


한국인에게는 “우리가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라는 숙제를, 미국 내 한국 교민에게는 “합법 비자라 해도 체류 목적과 실제 활동이 다르면 언제든 단속 대상이 될 수 있다”는 현실적 교훈을 남겼다.


#현대차공장단속 #불법체류 #한국인체포 #한미관계 #루비오발언 #중국견제 #이민정책 #트럼프정부 #외교파장 #한미일보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