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박필규 칼럼] 말로 진실을 덮으려는 역사 왜곡이라는 범죄에 대하여
  • 박필규 객원논설위원
  • 등록 2025-10-24 14:30:43
기사수정
  • 역사왜곡으로 미래까지 지배하려는 자들의 정치적 음모와 발언


제주 4.3의 진실. / 국회방송 영상 캡처. 

객원논설위원·육사 40기우리는 역사 기록과 언어를 해킹하여 역사를 왜곡하는 역사 전쟁을 보고 있다. 4·3 폭동을 지연된 정의, 4·3 무장봉기 진압을 '국가폭력'으로 규정하고, 군대의 반란인 10·19 여순 사건을 '정의로운 항명'으로 둔갑시켰다. 3·1운동과 '건국절' 쟁점, 김원봉을 국군의 뿌리로 주장, 해방 전후의 역사 비틀기, 6·25 남침설, 천안함 괴담, 비상계엄을 ‘내란 몰이’ 등 언어를 조작하여 의도적으로 엄연한 역사 기록조차 마비시키고 역사를 왜곡한다. 이는 역사 전쟁을 빙자한 범죄다.


역사의 근본적인 진실은 '사실성'에 있다. 아무리 말이 정교하고, 발언이 진영의 독기로 가득 차 있으며, 아무리 높은 권좌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들, 과거의 구체적인 사건들, 생존하는 증언자들, 치러진 전투들, 기록된 문서들은 변하지 않는다. 콩이 팥으로 둔갑할 수 없다. 


그런데, 역사를 모르는 세대들은 정치적 언어의 지배를 받는다. 여순 반란 세력에게 '정의'라는 가치와 힘 있는 말을 붙여, 법과 윤리의 기준을 무너뜨리면 속아 넘어간다. 역사를 조금 아는 사람도 거짓을 반복하면 혼란에 빠진다. 정치적 목적의 역사 왜곡은 진영 결속과 주도권 장악부터 역사를 팔아 표를 구걸하려는 정치꾼들의 사기 선거전략, 건전한 국민의 사고력을 마비시켜 그들의 정신적 노예로 만드는 범죄다.  


대남적화의 일부로 수행되는 역사전쟁


   역사 전쟁은 과거의 사실과 그 해석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격렬한 이념적 투쟁이다. 특정 진영이 언론과 교육을 활용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해석을 강요함으로써 대중의 기억을 지배하려는 정신적 테러로 발전한다. 이는 단순한 학술 논쟁을 넘어, 권력 찬탈 정당화와 국가 정체성을 재구성하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진다. 좌파의 역사 전쟁은 언어와 서사를 조작하고 선동하면 기록된 사실마저 뒤집을 수 있다는 오만에서 비롯된다. 


역사 왜곡 행위는 과거를 고치는 것이 아니다. 거짓 역사 반대로 해설과 그럴싸한 '언어 바이러스'로 사람들의 논리적인 생각을 마비시키고, 역사적 사실보다 집단기억이라는 전체주의 도구로 미래 세대의 사고방식을 그들에게 유리한 '기억의 감옥'에 가두려고 한다. 


말로 정치는 할 수 있어도 말로 이미 기록된 역사를 바꿀 수 없다. 그런데도, 좌파 위정자들은 당장의 정치적 이익과 진영 단결을 위해 과거 역사를 변조하여 무기화한다. 현재 ‘내란’정국 주도권 싸움을 위해 과거 계엄 역사를 상기시키고, 계엄 명령을 거부한 자들에게 면죄부를 주기 위해 반란군을 정의로운 항명으로 탈바꿈시킨다. 


그들은 언어를 비틀고 언론 매체를 동원하고 강압적인 힘으로 역사 재설계 공작을 반복한다. 역사적 사실을 바꾸는 것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공격한다. 이는 역사 왜곡의 컨트롤 타워가 있거나 지령을 받고 있다는 증거다.


역사 전쟁은 '용어의 가치 전이'와 ‘용어 혼란’ 무기를 사용


   4·3사건은 남로당 세력의 무장봉기와 이를 막는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인의 희생이 섞인 비극이었다. 당시의 공식 기록들은 '무장봉기'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있다. "4·3무장 폭동 진압"을 "국가폭력" 또는 "지연된 정의"로 규정한 사례는 언어 해킹을 통한 역사 왜곡이다.


체제를 뒤엎으려던 ‘무장봉기’를 ‘국가폭력’으로 바꾸면, 책임은 국가에게 넘어간다. 사건의 성격이 '무장봉기 반란'에서 '강압적인 폭력'으로 완전히 바뀐다. 더 나아가 '지연된 정의'라는 말은 무장봉기 자체를 도덕적으로 옳은 일로 높여, '반란 진압 과정의 비극'을 '국가에 의한 일방적인 학살'로 뒤집어씌워 역사의 본질을 변조했다. 국군의 진압작전을 모두 ‘반란군화’ 하고, 진짜 반란군과 빨치산들의 행동은 정당화했다. 계엄군을 ‘학살자’와 ‘반란군’으로 매도하는 솜씨는 77년 전(前)과 동일하다. 


여순 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국방부 14연대 일부 군인이 제주 4·3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일으킨 무장 반란과 이후 정부의 진압 과정에서 무고한 민간인이 대량 희생된 현대사의 비극이다. 과거에는 '공산 반란'으로 규정되었으나, 2021년 특별법 제정으로 사건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여순 사건 생존 장교인 최석신 장군은 “국민을 향한 총은 남로당이 겨눴다”며 여순 사건의 본질은 공산폭동이라 증언한다. 현 대통령은 여순 반란군의 항명을 정당화하는 발언을 했다. '군대의 반란'을 '정의로운 항명'으로 규정하는 것은 군대의 충성 가치와 대한민국 체제의 정통성을 무너뜨리려는 조직적인 공격행위다.

 

역사 전쟁 재인식과 역사왜곡 극복 방안


   3·1운동을 '건국일'로 주장, 김원봉을 '국군의 뿌리'로 삼으려는 시도는 1948년에 세워진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약화시키려는 시도다. 대한민국의 역사에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노선' 같은 이념을 미래 세대의 생각 속에 심으려는 '미래 권력 설계'다. 과거 역사를 현재의 찬탈 집권과 장기 집권에 이용하려는 그들의 술수를 읽어야 한다.  


역사 전쟁에서 진다는 것은 역사 조작 세력에게 지배를 받는다는 뜻이다. 당장 ‘내란’ 프레임 전쟁에 지면 그들의 ’진짜 내란‘ 행위가 정의로운 행위로 둔갑하고, 야당을 해체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역사 사실의 기초가 흔들리면 공감과 윤리에 기반한 진정한 역사인식과 역사를 바르게 해석하는 지혜가 불가능하다. 역사학자들은 법적 기록과 역사 자료를 근거로 책을 집필하고 강연하며, 주제별로 동영상으로 만들어 전파하고, 인공 지능을 활용한 최신 기법으로 젊은 세대에게 바른 역사의식을 심어주고 자발적으로 역사에 관심을 갖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역사의 진실은 말이 아니라, 피와 기록으로 쓰인다. 훼손된 과거 역사를 바로잡는 것을 넘어, 미래 세대에게 정확한 역사적 사실, 분리된 가치 판단, 윤리적 기준이 합쳐진 지혜를 길러주어 좌파가 정치적 목적으로 설계하고 구축한 '기억의 감옥'을 부수는 힘을 부여해야 한다. 역사 전쟁에 근대와 현대를 피와 땀으로 체험한 예비역들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  


박필규 객원논설위원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