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019년 판문점 회동.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아시아를 방문할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는 방안을 미국 정부 당국자들이 비공개로 논의해왔다는 미국 CNN 방송이 18일(현지시간) 보도해 사실 여부가 주목된다.
CNN이 미 트럼프 행정부와 각을 세워온 관계로 핵심 수뇌부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어온 점을 감안하면, 기사 자체를 액면 그대로 신뢰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CNN은 이번 보도에서 방송이 접촉한 많은 이들이 북미정상회동이 궁극적으로 개최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면서 이같이 트럼프 행정부 내부의 논의 동향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1일 경주에서 개막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을 방문하는 등 이달말 아시아를 순방할 계획이다.
CNN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북미 정상 간 회동 가능성을 논의해왔지만 실제 회담의 진행에 필요한 진지한 계획은 전혀 세우지 않았다고 했다.
이들 소식통은 미국과 북한 사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1기와 같은 소통은 아직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소식통 2명은 트럼프 행정부가 올해 초 북한에 접촉을 시도했으나 북한이 서한을 받지 않았고 이 때문에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다고도 주장했다.
CNN은 미중 무역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백악관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회담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백악관 경호팀이 트럼프 대통령의 APEC 계기 방한에 앞서 두차례 한국을 찾았지만 판문점 지역을 답사하지는 않았다고 CNN이 한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주장했다.
APEC 계기 북미정상회담 가능성은 지난 8월25일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때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올해 안에 만날 의향을 피력하면서 본격 회자되기 시작했다.
이후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달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에 직접 관심을 표명하면서 두 정상 간 만남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더 커졌다.
당시 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것으로 북한 관영매체들에 보도됐다.
이후 백악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거론한대로) 핵 문제를 언급하지 않고도 북한과 대화하는 데 열려 있느냐'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어떤 전제 조건 없이 대화하는 것에 여전히 열려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1기때인 2018년 6월과 2019년 2월 싱가포르와 베트남 하노이에서 각각 정상회담을 했다.
이어 두 사람은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전격적으로 회동했다.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 중이던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6월 29일 트윗을 올려 김 위원장에게 '판문점 회동'을 제안했고, 그로부터 5시간 여만에 북한이 긍정적 담화를 내면서 이튿날 만남이 전격 성사된 전례가 있다.
따라서 외교가에서는 외교적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도 북미간 사전 조율이 없는 상황에서 아시아 방문 기간중 김 위원장에게 SNS로 '번개 회동'을 제안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한미일보·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