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연구소 "북극오존 파괴하는 '브롬가스' 태양광 없이 발생"
북극 스발바르 군도 빙하 [극지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극지연구소는 북극 대기 경계층의 오존을 파괴해 극지 생태계를 위협하는 브롬 가스가 태양광 없이 발생하는 과정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브롬 가스는 바다에 있는 브롬이 폭발해 생긴 기체로 지표면에서 1∼2㎞ 상공에 있는 북극 대기 경계층으로 올라가 오존을 파괴하고 대기 중에 있는 수은을 지표면과 바다로 내려보낸다. 지금까지는 브롬이 태양광을 받아 폭발하면서 기체로 바뀌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에 극지연구소 김기태·안용윤 박사 연구팀은 '동결농축 효과'로 인해 브롬이 태양광 없이 브롬 가스로 전환되는 과정을 알아냈다.
동결농축 효과는 물이 냉각될 때 물에 녹아 있던 성분들이 준액체층으로 모이면서 높은 농도로 농축되는 현상을 말한다.
김기태 책임연구원은 "이 농축 과정에서 브롬이 특수한 화학 반응을 거쳐 브롬 가스로 전환되는 과정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극지연구소는 "이번 연구는 지구 대기 화학과 극지 환경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발견으로 주목받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물 연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Water Research'(워터 리서치) 2025년 10월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