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통령실 "대법원장 사퇴요구 나온 이유 돌아봐야한다는데 공감"
  • 연합뉴스
  • 등록 2025-09-15 11:10:50
기사수정

대통령실 "대법원장 사퇴요구 나온 이유 돌아봐야한다는데 공감"


"국회는 가장 우선되는 선출권력…시대적·국민적 요구 있다면 돌아봐야"


사법부 향해 "입법부 논의 지켜봐야…정부는 국회결정 존중할 수밖에"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공감' 분석 나오자 재차 브리핑…"오독·오보"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 관련 브리핑하는 강유정 대변인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 관련 브리핑하는 강유정 대변인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날 오후 열리는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는 신산업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과감하게 해소하기 위해 신설된 민관 합동 회의 플랫폼으로 이날 오후 열리는 1차 회의에서는 청년세대 일자리 및 신산업의 성장을 막는 핵심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2025.9.15 superdoo82@yna.co.kr


대통령실은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조희대 대법원장의 사퇴를 공개 요구한 것에 "시대적·국민적 요구가 있다면 '임명된 권한'으로서 그 요구의 개연성과 이유에 대해 돌이켜봐야 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점에 대해 아주 원칙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추 위원장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자 "특별한 입장은 없다"면서도 "국회는 숙고와 논의를 통해 헌법 정신과 국민의 뜻을 반영한다. 가장 우선시되는 국민의 선출 권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민을 대신하는 '선출된 권력'인 국회에서 이런 요구가 나왔다면 '임명된 권력'인 사법부는 그 이유를 차분히 돌아보는 게 우선이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추 위원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검찰 독재 시대에는 침묵하다가 가장 민주적인 정권 아래에서 무슨 염치로 사법부 독립을 주장하느냐"며 "사법 독립을 위해서 (조 대법원장) 자신이 먼저 물러나야 한다"고 썼다.


다만 강 대변인의 브리핑 내용을 두고 조 대법원장 사퇴 요구 자체에 대통령실이 공감을 표했다는 분석이 나오자 강 대변인은 재차 브리핑을 열어 취지를 다시 설명하기도 했다.


강 대변인은 "삼권분립 및 선출 권력에 대한 존중감에 대해 '원칙적 공감'이라고 표현한 것"이라며 "(조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대한) 구체적 의견은 아직 없다는 게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사안(조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 원칙적으로 공감한다는 것은 오독이고 오보"라며 "발언의 앞뒤 맥락을 배제하고 한 부분만 떼어 쓴 것이나 다름없다"고 언급했다.


최근 조 대법원장과 전국법원장회의가 여권발(發) 사법개혁에 '신중론'을 요구한 것에 대해서도 강 대변인은 "간접적 임명권을 통해 임명된 권한은 (선출 권력인) 입법부의 논의를 충분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입법부가 가진 자정과 내부적 협의 능력에 대해 의심부터 한다기보다는 천천히 지켜보고 숙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기념사하는 조희대 대법원장기념사하는 조희대 대법원장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조희대 대법원장이 12일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법원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5.9.12 hihong@yna.co.kr


이른바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에 관해서는 "내란 사태의 신속한 종식을 위해 법률을 제정하거나 이외 (별도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할지언정, 그것 역시 국회가 숙고와 논의를 거쳐서 갈 부분이고 정부는 최종적 결정에 대해 존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이 기사에 2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 프로필이미지
    GSTONE2025-09-15 13:18:43

    조희대는 쫓겨나거나 암살당한 중공 부주석처럼 비명횡사 당할 가능성이 크다. 정권이 바뀌면 중공은 아주 곤란한 지경으로 상황이 변할 것은 뻔하고 이재명도 교도소에서 죽은 후 출소가 가능해 선택의 여지가 없다. 제대로 정리를 했다면 이런 난장판의 나라 꼴 안봐도 되는데 쥐구멍에 숨어 눈치만 보다 막다른 길에 몰렸다. 살아 있을때 바로 잡아라.

  • 프로필이미지
    edoomok2025-09-15 12:06:30

    "국회는 숙고와 논의를 통해 헌법 정신과 국민의 뜻을 반영한다."씹고 또 씹고 음미해봐야 할 화두다. 과연 우리국회가 숙고와 논의를 입에 담아도 될 국회인가? 거짓말이나 사기전문가가 아니면 입에 담을 수 없는 말같은데 내가 정신이상자인가?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