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라는 포장 뒤에 감춰진 전력망 지분과 중국 기술. 블랙록 MOU의 실체. 한미일보 그래픽
AI 허브는 간판, 노림수는 전력망 지분
블랙록은 운용자산 12조5천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다. 이번에 한국 정부와 합의한 MOU의 간판은 ‘AI 데이터센터’였다.
그러나 데이터센터는 어디까지나 포장이다. 초대형 AI 인프라는 전력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풍력단지 조성과 전력망 고속도로 건설 투자를 댓가로 블랙록은 한국 전력망 사업에 발을 들이고 있다.
블랙록은 자회사 글로벌인프라스트럭처파트너스(GIP)를 통해 이미 유럽과 북미에서 풍력·송전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해왔다. 한국에서 추진되는 모델도 동일하다.
정부가 “AI 투자”라는 장밋빛 수사를 내세운 사이, 블랙록은 에너지 인프라 지분과 운영권에 발을 들이고 있는 셈이다.
제보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 방문 계기에 블랙록 래리 핑크 회장과 직접 만나 MOU 서명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정작 MOU의 구체적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블랙록이 단순히 데이터센터와 재생에너지 설비에 투자할 것인지, 아니면 전력 공급회사 지분 참여까지 노릴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다만 지난 2024년 신안 해상풍력단지 사례를 돌아보면, 블랙록은 설비 투자만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당시 자회사 GIP는 8.2GW 규모, 수십조 원에 달하는 사업의 지분 투자와 장기 운영권 확보를 시도했고, 재정 능력과 전력계통 문제로 정부 승인이 반려됐다. 이번 MOU 역시 같은 패턴을 따를 가능성이 크다.
중국산 기술 의존의 덫
더 심각한 문제는 기술적 의존 구조다. 글로벌 풍력시장은 이미 중국 기업들이 장악했다.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2023년 신규 설치된 풍력 터빈의 60% 이상이 중국산이었다. 세계 최대 터빈 제조사 상위 5곳 중 4곳이 중국 기업이다. 가격 또한 유럽·한국산 대비 20~30% 저렴하다.
투자자라면 당연히 싼 장비를 쓴다. 블랙록 같은 글로벌 자본에게 중요한 것은 국적이 아니라 투자수익률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추진될 풍력단지와 전력망 속살에 중국산 기술이 대거 깔릴 개연성은 매우 높다.
해킹과 백도어, 국제 사회의 경고
보안 리스크는 이미 현실화됐다. 미국에서는 중국산 인버터에서 문서에 없는 통신 모듈이 적발돼 전력망 원격 제어 가능성이 경고된 바 있다. 덴마크에서도 에너지 설비용 회로기판에서 미등록 전자 부품이 발견돼 조사에 들어갔다.
아직 의도적 해킹 장치로 단정되진 않았지만, 값싼 중국 장비가 대규모로 유입될 경우 한국 전력망 역시 똑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국민 세금과 지역 갈등의 뇌관
이 과정에서 국민 세금이 투입될 여지도 크다. 풍력단지와 초고압 송전망은 수십조 원에 달하는 장기 프로젝트다. 외국 자본이 모든 위험을 떠안을 리 없다. 세제 혜택, 보조금, 토지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지역 갈등도 피할 수 없다. 풍력단지 건설은 이미 전국 곳곳에서 환경 파괴 논란과 주민 반발을 불러왔다. 초고압 송전망은 더 민감한 사안이다. 블랙록의 참여가 오히려 지역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업 지연과 사회적 비용을 키울 위험이 크다.
대통령이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
더욱 중요한 문제는 결정 방식이다. 전력망과 발전소는 단순한 투자 대상이 아니라 국가 기간산업이며 국민 생활과 안보를 지탱하는 핵심 자산이다.
헌법 제119조가 규정한 경제민주화 원리, 전기사업법과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구속력은 모두 대통령이 임의로 처리할 수 없는 영역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대규모 외국 자본이 지분을 확보하고 세금 보조가 뒤따르는 구조라면, 이는 국민의 동의와 국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결국 이번 MOU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나 에너지특위에서 다뤄야 할 사안이지, 대통령의 단독 결재로 처리할 일이 아니다.
언론이 침묵하면 국민은 알 수 없다
결국 이번 MOU는 AI 데이터센터라는 장밋빛 간판 뒤에 감춰진 전력망 지분 확보와 중국 기술 의존의 실체를 드러낸다. 이는 단순한 투자 유치가 아니라 국가 주권과 에너지 안보를 흔드는 문제다.
언론이 이를 문제 삼지 않는다면 국민은 진실을 알 수 없다. 정부의 포장과 홍보가 아니라, 그 속에 숨겨진 실질적 위험을 드러내는 것이 언론의 책무다.
#블랙록 #MOU #AI투자 #전력망 #풍력단지 #중국기술 #해킹위험 #세금부담 #국민주권 #한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