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외원조 확 줄인 트럼프, 그린란드 북극곰 지원 대폭증액 추진
  • 연합뉴스
  • 등록 2025-10-10 10:15:06
기사수정
  • 700억원 배정 검토…트럼프 '그린란드 합병 추진'과 결부돼 주목


러시아 북극곰2025년 9월 14일 콜류친 섬에서 촬영된 옛 소련 시절 연구시설에서 제3자에 의해 촬영된 드론 영상에서 캡처된 북극곰의 사진. [Instagram @makhorov/Handout via REUTERS / MANDATORY CREDIT / 제3자 제공 사진 / 크레딧 원형 그대로 표시 필수] 2025.10.10.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그린란드 북극곰과 네팔 눈표범 보호 사업에 각각 5천만 달러(710억 원), 2천500만 달러(360억 원)를 쓰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미국 우선주의'에서 벗어나는 인도적 지원과 자연보호 예산을 대폭 삭감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는 크게 어긋나는 것이라고 WP는 지적했다.


WP는 미국 국무부 내부 이메일을 입수해 검토한 결과 9월 중순 기준으로 국무부가 이런 예산지원안을 적극적으로 기안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런 움직임은 미국과 다른 나라들의 외교관들, 선출직 공무원들, 동물보호 노력에 참여중인 과학자들 등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라고 WP는 지적했다.


특히트럼프 대통령이 덴마크령인 그린란드를 사들이거나 다른 방식으로 미국에 합병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어 주목된다.


국무부는 WP에 보낸 입장문에서 "이 사업은 미국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정당화하기가 매우 어렵지만, 국무부는 관련 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FY2024 예산배정을 변경할 수가 없기 때문에, 법을 준수하면서도 미국의 전략적 목표에 도움이 되도록 창의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FY2024'는 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인 '2024 회계연도'를 뜻한다.


국무부는 그러면서 이번 사업 추진의 목표 중 하나로 "의회가 의무화한 (사업비) 할당을 준수해야만 하는 입장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정책 목표를 진전시킬 수 있도록 "핵심 파트너들과의 경제적, 외교적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기회"를 잡는 것을 꼽았다.


레닌그라드 동물원의 북극곰레닌그라드 동물원의 북극곰. 상트페테르부르크 타스=연합뉴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이미 의회가 예산을 법률로 확정한 기존 사업들조차 의원들의 의도를 무시하고 임의로 취소해왔던 점을 감안하면, 이런 국무부의 해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를 들어 올해 8월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은 이미 법률로 확정돼 공포돼 있는 50억 달러(7조 원) 가까운 대외 원조를 삭감했으며, 이에 대해 공화당 소속 수전 콜린스(메인) 연방상원 예산위원장은 "명백한 법 위반"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린란드 북극곰 보호 활동을 해 온 연구자들은 현재 국무부에서 검토되고 있는 5천만 달러라는 사업 예산의 규모가 너무 크다며 어리둥절해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지금까지 받아 온 지원금보다 '0'이 여러 개 더 붙은 엄청난 거액이어서 과연 다 쓰는 게 가능한지도 잘 모르겠다는 게 이들의 반응이다.


그린란드의 야생 생물 실태를 조사하는 '그린란드자연자원연구소'의 북극곰 연구 예산은 연간 50만 달러(7억 원)이며, 이 중 대부분은 덴마크 정부가 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에 앞서 내전을 겪고 있는 수단에 대한 의약품 지원이나 이스라엘의 봉쇄조치로 식량난이 심해진 가자지구에 대한 식량 지원 등에 쓰인 수천만 달러 규모의 사업을 포함해 대외 원조 사업을 대폭 취소했다.


그린란드 북극곰 보호와 네팔 눈표범 보호 사업은 20억 달러(2조8천억 원) 가까운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사업비 잔액에서 지출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2월 USAID의 사업을 동결하고 실질적으로 해체를 강행했다.


USAID는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로 설립된 기관이어서 공식적으로 폐지되려면 의회의 입법이 필요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법률 개폐 절차 없이 USAID 폐지를 선언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