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북한 핵폐수 ‘정상’ 발표… 수치 없는 정부, 침묵한 언론
  • 김영 기자
  • 등록 2025-07-19 12:52:38
기사수정
  • 후쿠시마 때는 ‘해양 재앙’ 경고… 이중잣대 논란 커져
  • 정부, 구체적 수치 발표 없이 “이상 없다”만 되풀이
  • 언론, 후쿠시마 ‘호들갑’ 북한 폐수에는 ‘눈치 보기’
북한 우라늄 공장의 방사성 폐수 유출 의혹에 대해 정부는 ‘기준치 이하’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언론 역시 대부분 이를 축소 보도하거나 외면한 반면, 후쿠시마 오염수 땐 연일 공포를 조성했던 과거와 대조됩니다. 정부의 정보 비공개와 언론의 침묵이 낳는 신뢰 위기를 짚어봅니다.

민주당 박광온 원내대표가 27일 국회 당 사무실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원내대책단 회의를 하고 있다. 2023.6.27 . 연합뉴스

북한 평산 우라늄 공장에서 방사성 폐수가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정부가 ‘기준치 이하’라는 조사 결과만 발표한 채 구체적인 방사능 수치를 공개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이와 동시에 주요 방송사들이 해당 사안을 거의 보도하지 않거나 단신 처리에 그치면서,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당시의 과도한 공포 보도와 비교돼 ‘이중잣대’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18일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해양수산부, 환경부는 강화도와 한강 하구 등 10개 지점에서 실시한 정밀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우라늄, 세슘, 카드뮴, 수은 등 주요 방사성 물질 및 중금속이 모두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거나 불검출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국민이 가장 궁금해할 우라늄이나 세슘의 실제 농도 수치(Bq/L 또는 μg/L)는 공개되지 않았다. “과거 수준과 유사하거나 더 낮다”, “불검출(ND)”이라는 표현만 반복됐을 뿐이다.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이상 수치가 감지되지 않았다는 점은 안심할 만하다”고 평가하면서도, “구체적인 측정값 없이 ‘정상’만 강조하는 발표 방식은 과학적 신뢰를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외신에 “서해 방사능 수치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으며(NK News), 터키 통신사 아나돌루(AA)도 “안정적 수치”라고 보도했다.

 

반면 정치권 일부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은 “전문가들이 북한 폐수가 임진강과 한강까지 유입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며 “정부는 ‘정상’만 반복할 것이 아니라 측정값과 시료 분석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언론의 대응도 매우 미흡하다”며 “국민 알권리 차원에서 후속 취재와 검증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당시, 주요 방송사들은 매일같이 트리튬, 세슘 농도를 분석하며 “국민 식탁이 위험하다”, “해양 생태계 재앙”이라는 보도를 이어갔다. 

 

MBC는 오염수 방류 첫날부터 “국민 불안은 커져만 간다”는 제목으로 뉴스를 제작했고, JTBC는 “도쿄 앞바다에서도 세슘이 검출됐다”고 보도하며 경각심을 강조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트리튬 농도 73만 Bq/L, 세슘-137은 ALPS 처리 후 5.5kBq/L 이하로 낮아졌다고 밝혔고, IAEA와 함께 해당 수치를 국제 기준에 따라 실시간 공개했다.

 

반면 북한 핵 폐수 의혹에 대해선 한국 정부조차 농도를 밝히지 않았고, IAEA나 제3자 검증 절차도 없는 상태다. 일부 전문가들이 “과거 평균 우라늄 농도인 0.1~0.4μg/L와 유사할 것”이라고 추정했을 뿐, 2025년 조사 결과의 실측값은 여전히 공개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국민적 관심사일 수 있는 사안에 대해 주요 언론이 침묵했다는 점이 비판을 키우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재난·안전 관련 보도에 대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재난 정보의 신속·정확한 전달’ 등을 방송평가 기준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민 생명과 직결된 사안에 대해서는 정량적 수치를 포함해 상세히 보도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MBC, JTBC 등 주요 방송사들은 해당 사안을 메인뉴스에서 보도하지 않았거나, 정부 발표를 요약하는 데 그쳤다.

 

시민사회의 평가와 관련 기사 댓글에는 “정부의 수치 미공개는 언론이 나서서 검증하고 요청해야 할 사안”이라며 “후쿠시마 때는 IAEA 검증에도 불신을 부추기더니, 북한 핵 폐수 의혹에는 침묵으로 일관하는 모습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환경은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방사능 위험은 수치로 판단해야지, 발원지에 따라 보도 강도를 달리해서는 안 된다. 괴담보다 더 위험한 것은 ‘불리한 진실엔 침묵하는 언론’이라는 지적이 다시금 힘을 얻고 있다.

 

 

#북한핵폐수 #방사능수치공개 #언론이중잣대 #후쿠시마오염수 #언론침묵 #환경안전정보 #정부투명성 #재난보도책임 #IAEA검증 #한미일보



관련기사
0
유니세프-기본배너
국민 신문고-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