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단독 입수] “반도체는 임시로….” 존 밀스-배넌 대화 메시지
  • 허겸 기자
  • 등록 2025-08-13 22:26:33
  • 수정 2025-08-13 23:07:42
기사수정
  • “SK 등 반도체 파트너들 공급망 보장 역점”… 역할 의문 일부 풀려 
  • 국무부 입부로 국제선거감시단의 한국 활동 美 정부 용인 뚜렷해져 
  • 美 뉴스앤포스트 “소식통으로부터 이들이 주고받은 문자 입수했다”

단독 입수한 ‘존 밀스-스티브 배넌 대화 메시지’에 따르면 존 밀스 신임 미국 국무부 부차관보가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에게 “임시로 나는 사이버 공간 및 디지털 정책 담당 수석 부차관보를 맡는다”고 말했다. 대화 캡처. 

한국의 6.3 조기 대선을 전후해 국제선거감시단 소속으로 방한하고 돌아간 존 밀스(John Mills·사진) 미국 국무부 신임 부차관보가 반도체 관장 업무를 임시로 맡았다는 뉘앙스로 말했다. 


이로써 사이버안보 전문가로 꼽히는 그의 역할을 둘러싼 의문이 일부 풀리게 됐다. 


13일 <한미일보>와 특약을 맺고 있는 미국 현지 한인 미디어 <뉴스앤포스트(NNP·대표 홍성구)>가 단독으로 입수해 한미일보에 제공한 ‘존 밀스-스티브 배넌 대화 메시지’에 따르면 밀스 부차관보는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에게 “임시로 나는 사이버 공간 및 디지털 정책 담당 수석 부차관보를 맡는다(Tentatively, I'm the Principal Deputy Assistant Secretary for Cyber space and Digital Policy)”라고 말한다. 


그러고는 “반도체와 SK와 같은 반도체 협력 파트너들, 반도체 수출 등에 주로 역점을 두게 된다(Major focus on chips, chip partnerships (SK·TW·JP and NL) and chip exports)”고 덧붙여 설명한다. 


그의 이 같은 설명은 배넌이 방송에서 ‘차관보’라고 직책을 소개한 데에 대해 정정을 요구하면서 나온 것이다. 


존 밀스 국무부 부차관보. 밀스 수석 부차관보는 “직책을 고쳐줄 수 있을까요(let me get the exact correct title)”라고 요청한 뒤에 정확한 직책명과 주요 업무를 설명했다. 


문제는 ‘Tentatively’가 어디를 수식하는가다. ‘임시로, 잠정적으로’라는 뜻의 이 단어가 부차관보(Deputy Assistant Secretary)만 수식한다면 이달 들어 차관보가 공석이기에 임시로 수석(Principal)직을 유지하고 추후 차관보가 임명되면 ‘수석’을 뗀 ‘부차관보’ 직책을 갖게 될 수 있다. 공석인 차관보 자리에 존 밀스가 승진·기용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 


통상 문장 맨 앞의 부사는 문장만 수식하지만, 직책 설명에 이은 직무 설명이라는 문맥을 보면 또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직무가 조정되면 역할도 바뀌기 때문이다. 


‘Tentatively’가 그의 주된 ‘직무 설명(job description)’에 묶인다면, 존 밀스 수석 부차관보의 직무가 반도체 공급 이슈를 한시름 더는 대로 국무부 내에서 다른 직무로 바뀔 여지도 있다. 


밀스 수석 차관보는 곧이어 현재의 직무에 관해서 좀 더 보강해서 배넌의 이해를 구한다. 그는 “나노 실리콘 수준 이상의 신뢰할 수 있는 반도체 공급체인을 보장하는 일(Ensuring a trusted chip supply chain from the nano silicon level and up)”이라고 배넌에게 보충 설명한다. 


‘Tentatively’라는 단어만으로 해석하기엔 일정한 한계가 있지만 아직도 미국 정부가 국제적인 부정선거 규명에 전력투구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면 밀스 수석 부차관보의 직무 이동 가능성은 굳이 배제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NNP의 홍성구 대표기자는 기자와 통화에서 “소식통으로부터 이들이 주고받은 문자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입수 경위를 설명했다. 


급한 불 끈 뒤 직무 조정 여지? 숨겨진 미션?… “사이버 업무가 주된 역할” 


존 밀스 신임 수석 부차관보는 한국의 6.3 대선을 전후해 국제선거감시단 소속으로 방한하고 돌아간 뒤 중국 시진핑의 책사 왕후닝(王滬寧)을 전 세계 부정선거의 원흉으로 전격 지목했다. 최근 국무부에 들어가기 전 언론 인터뷰에선 미국 정부가 A-WEB(세계선거기관협의회)에 대한 고강도 조사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당시 민간인 신분이었던 그의 저격 발언을 두고 일각에선 신뢰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이번 국무부 고위직 임명으로 상당한 팩트에 기반한 발언이었다는 해석에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그의 한국 활동을 전후해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미국의 재외공관에 “내정간섭으로 우려될 (현지) 주재국의 선거에 대해 외교관들은 특단의 승낙이 없는 한 발언하지 말라”는 지침을 하달했다. 이로써 국제선거감시단의 한국 활동은 존 밀스의 국무부 입성으로 미국 정부의 용인이 있었다는 해석이 더 뚜렷해졌다. 


이에 따라 한국 선거에 중국 공산당(CCP·중공)이 개입한 것으로 보고 있는 밀스 부차관보가 일찌감치 트럼프 행정부에서 부정선거를 파헤치는 중추적인 역할을 맡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아왔다. 


그는 33년간 미 육군 등에 몸담았고 대령으로 예편한 뒤 국방부(DoD)·국토안보부(DHS) 등 정부 조직에 속해 사이버안보 전문가로 일하기도 했다. 또한 연방항공청(FAA) 프로젝트와 주한미군을 비롯해 이라크·아프가니스탄·보스니아 등 분쟁 지역의 안보 관련 제대(군 편성조직의 단위) 창설 프로젝트 등에도 관여했다. 일종의 컨트랙터(contractor·프로젝트 단위 계약자)로서 필요에 따라 직무 능력을 발휘해 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공급망 확보는 중공의 제어와 직결되는 당면 과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자국 기업 인텔의 최고경영자(CEO)와 회동했다. 인텔의 립부 탄 CEO는 다른 회사의 경영을 맡던 지난 10년간 중국 반도체 기업에 투자했다는 미 연방 상원의 지적이 나온 인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탄 CEO의 즉각 사임을 요구한 바 있다. 반도체는 미국의 최우선 안보 현안 중 하나다.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의 대응 문제도 화젯거리다. 밀스 부차관보는 손꼽히는 대만 전문가로 분류된다. 


사이버 공간 및 디지털 정책을 총괄하는 존 밀스 수석 부차관보의 직무가 해킹과 부정선거 서버 전산 조작 등을 모두 아우르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사안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사이버 보안이라는 직무는 삼성 해킹이나 부정선거 서버 조작 등이 전부 존 밀스의 소관이 되는 것”이라고 알려왔다. 


장재언(70·육사 34기·전 국방대 전산학 교수) 박사도 같은 견해를 보였다. 장 박사는 13일 기자와 통화에서 “직책은 숫자에 불과하다”며 “존 밀스 예비역 대령이 한국을 다녀간 10일 동안 붙어 있었다. 그는 대외적으로 공개하기 어려운 명확한 미션을 갖고 미국으로 돌아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에서 부정선거 규명은 차츰 예열되고 있지만 아직은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트럼프 행정부로선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지만 곁가지를 치고 본론으로 들어가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간첩단 사건이 쟁점이 되던 지난 1월 미국의 한 소식통은 “한반도 이슈는 우선순위에서 4~5번째”라고 딱 꼬집어 밝힌 바 있다. 그가 밝힌 순서는 대체로 지금까지 수순대로 이어졌다. 그는 “한반도 이슈에서 중국은 제외하고 남북한은 포함한다”고 했다. 한국과 한반도 이슈는 4, 5번째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중동 분쟁 등이 미국의 대외정책에서 앞선다는 것이다. 중국을 제외한 것은 중국 문제 처리의 우선순위가 처음부터 남북한을 제치고 수위권에 있었다는 뜻으로 당시 풀이됐다. 


허겸 기자 


관련기사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이 기사에 1개의 댓글이 달려 있습니다.

  • 프로필이미지
    GSTONE2025-08-13 23:18:03

    부정선거 대북송금에 대한 제재를 않고 엉거주춤한 꼴로 눈치만 보고 있으니 본격적인 증거인멸과 정적제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유니세프-기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